Skip to content

Seoul City Wall 한양도성 EarthCache

Hidden : 5/21/2023
Difficulty:
2 out of 5
Terrain:
1 out of 5

Size: Size:   other (other)

Join now to view geocache location details. It's free!

Watch

How Geocaching Works

Please note Use of geocaching.com services is subject to the terms and conditions in our disclaimer.

Geocache Description:


한양도성 소개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된 성입니다. 1396년(태조5)에 백악(북악산). 낙타(낙산), 목멱(남산), 인왕의 내사산 능선을 따라 쌓은 이후 여러 차례 고쳤습니다. 평균 높이 약 5 ~ 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며,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래도록 (1396~1910, 514년) 성의 역할을 다한 건축물입니다. 한양도성의 성벽에는 낡거나 부서진 것을 손보아 고친 역사가 고스란히 남아 있으며, 성벽 돌에 새겨진 글자들과 시기별로 다른 돌의 모양을 통해 축성 시기와 축성 기술의 발달 과정을 알 수 있습니다. 한양도성에는 사대문(홍인지문-돈의문-숭례문-숙정문)과 사소문(혜화문-소의문-광화문-창의문)을 두었는데, 이 중 돈의문과 소의문은 없어졌씁니다. 2014년까지 한양도성 전체 구간의 70%가 옛 모습에 가깝게 정비되고, 숙정문-광화문-혜화문은 다시 세워졌습니다.

이 어스캐시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면 벽의 이 부분을 따라 약 2km를 걸어야 합니다. 서울에서 가장 흥미로운 동네 중 하나에 있는 아름다운 산책로입니다.

한양도성 축조

어스캐시 좌표에서는 한양도성이 사용된 514년 동안 건설의 각 단계에서 사용된 암석의 예를 볼 수 있습니다.

태조 때의 도성 축조(1396)

1396년 1월과 8월, 두 차례 공사를 통해 축성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산지는 석성, 평지는 토성으로 쌓았습니다. 성돌은 자연석을 거칠게 다듬어 사용하였습니다.

세종 때의 도성 축조 (1422)

1422년 1월, 도성을 재정비하였습니다. 이때에 평지의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 쌓았습니다. 성돌은 옥수수알 모양으로 다듬어 사용하였습니다.

숙종 때의 도성 축조 (1704~)

무너진 구간을 여러 차례에 걸저 새로 쌓았습니다. 성돌 크기를 가로-세로 40~45cm 내외의 방형으로 규격화하였습니다.이로써 성벽은 이전보다 더 견고해졌습니다.

순조 때의 도성 축조 (1800~)

가로-세로 60cm 가량의 정방형 돌을 정교하게 다듬어 쌓아 올렸습니다. 각자성석은 여장에 있습니다. (현재 학술연기가 진행 중입니다.)

한양도성 지질

600년의 역사를 지닌 한양도성은 여느 바위와 다름없는 날씨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습니다. 성벽의 일부 구간에서 풍화, 배부름, 균열현상의 지질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풍화

풍화는 암석과 광물이 분해되어 용해되는 과정입니다. 물, 얼음, 산, 염분, 식물, 동물, 온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본질적으로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입니다.

물리적 풍화에는 열응력 풍화, 빙결 풍화 작용 및 마모 풍화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빙결 풍화 작용은 물이 바위의 작은 균열에 들어가는 경우입니다. 물이 얼면 얼음이 팽창하고 균열이 커집니다.

열응력 풍화 또는 박리는 암석 자체의 가열 및 냉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것은 계절에 따라 암석을 천천히 팽창 및 수축시킬 수 있으며 암석의 바깥층이 "벗겨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마모 풍화는 바람 또는 기타 현상으로 인해 암석이 서로 긁히는 경우입니다.

용해, 산화 및 가수 분해를 포함하여 여러 유형의 화학적 풍화가 있습니다.

용해 풍화는 돌의 광물이 물에 용해되는 과정입니다. 이것은 석고와 같은 일부 광물에서는 빠르게 발생하지만 석영과 같은 광물에서는 매우 느리게 발생합니다.

산화 풍화는 산소가 암석의 광물과 결합하여 약화될 때 발생합니다. 이것은 또한 광물에 따라 암석의 색을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석의 철 산화는 암석에 붉은 색조를 부여합니다.

가수분해 풍화는 용해와 비슷하지만 광물의 일부만 용해되어 일부 물질이 남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가수분해는 산성비로 인한 산성 가수분해입니다.

생물학적 풍화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식물에 의한 풍화 또는 동물에 의한 풍화입니다.

식물 풍화는 암석의 균열에서 식물이 자라기 시작할 때 발생합니다. 뿌리는 영양분을 찾으면서 확장되어 균열이 커지고 암석이 무너집니다.

동물 풍화는 동물이 바위를 파거나 파고 들어가거나 먹어 치워 구멍과 균열이 커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어스캐시 로그하는 방법

1. 어스캐시 좌표에는 각 벽 축조 기간에 사용된 암석 샘플이 있습니다. 샘플들 중 풍화에 더 취약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2. 지점 1에서 여기 벽의 일부는 상당한 풍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풍화 작용이 여기에서 바위를 무너뜨리는 원인이라고 생각합니까?

3. 지점 2에서 벽에 배부름이 있습니다. 여기 벽에 횐색 원이 몇 개 붙어 있습니다. 이 흰색 원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4. 한양도성을 따라 GPS(또는 다른 지오캐싱 항목)랑 사진을 찍어 로그와 함께 업로드해 주세요. (이 사진은 필수입니다)

5. 답을 제 Profile에 있는 메시지창을 이용해 제게 보내주세요. 이제 로그하셔도 됩니다. 답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제가 메시지를 드리겠습니다

 

 

 

Seoul City Wall Introduction

Hanyangdoseong (Seoul City Wall) was built to safeguard Hanyang (now called Seoul)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demark the city's boundary. It served as a city wall for 514 years (1396-1910), longer than any other city wall in the world. Hanyangdoseong has four main gates and four small gates. Hanyangdoseong runs along 18.6km along Baekaksan, Naksan, Namsan, and Inwangsan. Visitors can experience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as it passes by many historic sites including Sungnyemun, Heunginjimun, and Sukjeongmun Gates, and the site of Donuimun Gate.

For this Earthcache you will need to walk along this section of the wall for about 2km (1.24 miles). It is a beautiful walk in one of the most interesting neighborhoods in Seoul.

Construction of the Wall

At the Earthcache coordinates you can see examples of the rock used during each of the phases of construction over the 514 years Hanyangdoseong was used.

Wall construc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1396)

The wall was completed in two seperate projects, in January and August of 1396. The stone sections of the wall were built on mountainous terrain, and the rammed earth sections were built on flat ground. natural stones were roughly dressed for construction of the wall.

Wall construc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1422)

In January of 1422, the rammed earth sections were replaced by a wall of natural stones chiseled into kernel shapes.

Wall construc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1704~)

The stones used in the rebuilding of the wall were shaped to standardized 40-45cm in length and width, making the wall stronger than before.

Wall construc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1800~)

Square (60cm x 60cm) stone blocks were used to build the wall. Stone blocks with inscriptions can be seen along the parapets. The inscriptions show chinese characters indicating who built which section of the wall and who was responsible for maintanance of that section.

Geology of the Wall

The Seoul City Wall over its 600 year history has been out in the open, subject to the same elements as any other stone object. Geological phenomena such as weathering, bulging, and cracks have occurred in some sections of the fortress wall.

Weathering

Weathering is the process in which rocks and minerals break down and dissolve. This can have many different causes like: water, ice, acids, salt, plants, animals, changes in temperature, and more. These processes ar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in nature.

There are three main different types of physical weathering: frost weathering, thermal stress, and abrasion.

Frost weathering is when water enters small cracks in the rock. When the water freezes the ice expands and the cracks grow.

Thermal stress or exfoliation is caused by the rock itself heating and cooling. This can slowly expand and shrink the rock over seasons and can result in outer layers of the rock seemingly "peeling" off.

Abrasion is when wind or other phenomena cause rocks to scrape against each other. This works similar to a sand blaster or sand paper.

There are several types of chemical weathering including, dissolution, oxidation, and hydrolysis.

Dissolution is a process where minerals in the stone dissolve in water. This happens quickly with some minerals like gypsum, but very slowly with minerals like quartz.

Oxidation happens when oxygen binds with the minerals in the rock weakening it. This can also change the color of the rock depending on the mineral. For example, iron oxidation in rock give the rock a reddish tint.

Hydrolysis is similar to dissolution, but only part of the mineral is dissolved leaving some material behind. The most common type of hydrolysis is acid hydrolysis from acidic water.

There are two main types of biological weathering. Weathering caused by plants or weathering caused by animals.

Plant weathering happens when plants start growing in the cracks in the rock. Roots expand as they search for nutrients causing the cracks to grow and the rocks to fall apart.

 Animal weathering happens when animals dig, burrow, or eat away at the rock causing holes and cracks to grow.

 

How to log this Earthcache

1. At the earthcache coordinates there are samples of the rock used in each of the periods of wall construction. Which of these samples do you think were more susceptible to weathering? Why do you think that?

2. At Waypoint 1, some of the wall here has experienced significant weathering. What kinds of weathering do you think are causing the rock to crumble here?

3. At Waypoint 2, the wall is bulging. There are some white circles glued to the wall here. What do you think is the purpose of these white circles?

4. Please take a picture with your GPS (or some other geocaching item of yours) along the Seoul Wall and upload it with your log. (This photograph is required)

5. Please send the answers to me by message on my profile. If your answers are not correct I will contact you. You may log the geocache now.

Additional Hints (No hints available.)